Linux ll
명령어 완벽 가이드
Linux에서 ll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터리의 정보를 보기 쉽게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주로 ls -l --color=auto
의 alias(별칭)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l
명령어의 출력 형식과 각 항목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ll
명령어 출력 형식
$ ll
total 16
drwxr-xr-x 2 user user 4096 Feb 10 12:00 Documents
-rw-r--r-- 1 user user 123 Feb 10 11:59 file.txt
출력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열 번호 | 내용 |
---|---|
1 | 파일 유형 및 권한 (drwxr-xr-x ) |
2 | 하드 링크 수 |
3 | 파일 소유자 |
4 | 파일 그룹 |
5 | 파일 크기 (바이트 단위) |
6~8 | 마지막 수정 시간 (월 일 시:분 ) |
9 | 파일 이름 |
2. 각 항목의 상세 설명
🔍 1) 파일 유형 및 권한 (drwxr-xr-x
)
첫 번째 열은 파일 유형과 권한을 나타냅니다.
파일 유형(맨 앞 문자)
-
: 일반 파일d
: 디렉터리l
: 심볼릭 링크b
: 블록 장치 파일c
: 문자 장치 파일
권한(다음 9자리)
r
: 읽기 권한(read)w
: 쓰기 권한(write)x
: 실행 권한(execute)
권한은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 순으로 3자리씩 표시됩니다.
예) drwxr-xr-x
- d : 디렉터리
- rwx :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
- r-x : 같은 그룹 사용자는 읽기, 실행 권한
- r-x : 그 외 사용자는 읽기, 실행 권한
🔍 2) 하드 링크 수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하드 링크 개수를 나타냅니다. 디렉터리의 경우, 내부에 포함된 하위 디렉터리와 .
(자기 자신), ..
(부모 디렉터리)를 포함합니다.
🔍 3) 파일 소유자 & 4) 파일 그룹
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와 그룹을 표시합니다.
🔍 5) 파일 크기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냅니다. ls -lh
옵션을 사용하면 크기를 KB, MB, GB 단위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6~8) 마지막 수정 시간
월 일 시:분
형식으로 파일의 마지막 수정 시간을 표시합니다.
🔍 9) 파일 이름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3. ll
명령어 활용 팁
- 파일 크기를 가독성 있게 표시:
ll -h
(ls -lh
) →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KB, MB, GB)로 표시 - 숨김 파일 포함 표시:
ll -a
(ls -la
) → 숨김 파일(.
으로 시작하는 파일)도 표시 - 최근 수정 순으로 정렬:
ll -t
(ls -lt
) → 최근에 수정된 파일이 위쪽에 출력
4. ll
명령어 설정 확인 및 추가 방법
일부 Linux 배포판에서는 ll
명령어가 기본 설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lias ll
출력 결과가 없다면, ~/.bashrc
또는 ~/.zshrc
파일에 다음 줄을 추가하고 설정을 적용해 주세요.
alias ll='ls -l --color=auto'
이후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합니다.
$ source ~/.bashrc # 또는 source ~/.zshrc
5. 마치며
ll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터리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출력 형식과 각 항목의 의미를 이해하면 파일 관리가 훨씬 더 쉬워질 것입니다. 다양한 옵션을 직접 실행해보며 ll
명령어를 더욱 능숙하게 다뤄보세요! 🚀
'Cod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서버 Memory Swap 사용량 (1) | 2025.02.17 |
---|---|
[Linux] 서버 캐시 정리 명령어 (0) | 2024.12.21 |
[Linux/Ubuntu 20.04 LTS] 부팅할 때 특정 파일을 실행 (0) | 2024.05.07 |
[Linux/Ubuntu 20.04 LTS] Wired Network 사라지는 경우 (0)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