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서버 Memory Swap 사용량
·
Coding/Linux
서버에서 Memory Usage: 80% 이상, Swap Usage: 99%인 경우, 시스템이 심각한 메모리 부족 상태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프로세스가 응답하지 않거나, 심한 경우 OOM(Out of Memory) Killer가 동작하여 중요한 프로세스가 종료될 수도 있습니다.이 상황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프로세스 확인ps aux --sort=-%mem | head -10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상위 10개 프로세스를 확인합니다.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종료할지 검토합니다.실시간 메모리 및 스왑 사용량 확인free -havailable 메모리가 거의 없는 경우, 스왑이 과도하게 사용되면서 시스템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vmstat 1 10si(swap in)와 so(swa..
[Linux] ll 명령어 완벽 가이드
·
Coding/Linux
Linux ll 명령어 완벽 가이드Linux에서 ll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터리의 정보를 보기 쉽게 출력해주는 명령어로, 주로 ls -l --color=auto의 alias(별칭)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l 명령어의 출력 형식과 각 항목의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ll 명령어 출력 형식$ lltotal 16drwxr-xr-x 2 user user 4096 Feb 10 12:00 Documents-rw-r--r-- 1 user user 123 Feb 10 11:59 file.txt출력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열 번호내용1파일 유형 및 권한 (drwxr-xr-x)2하드 링크 수3파일 소유자4파일 그룹5파일 크기 (바이트 단위)6~8마지막 수정 시간 (월 일 시..
[Linux] 서버 캐시 정리 명령어
·
Coding/Linux
Linux 서버의 캐시 정리 명령어: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Linux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관리를 위해 캐시와 버퍼를 활용합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메모리 캐시를 수동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가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해당 명령어의 동작 원리와 사용 방법을 설명합니다.명령어 구성1. syncsync 명령어는 디스크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강제로 쓰도록 합니다. 이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캐시 정리 전에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역할: 버퍼 캐시에 남아 있는 변경 사항을 디스크로 플러시합니다.사용 예:sync2. ech..
[Linux/Ubuntu 20.04 LTS] 부팅할 때 특정 파일을 실행
·
Coding/Linux
Ubuntu 20.04에서 부팅할 때 특정 파일을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cron 데몬을 사용하여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systemd 서비스를 만들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입니다. 아래에 두 가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1. cron 사용1.1. crontab 열기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사용자의 crontab을 엽니다.crontab -e1.2. 부팅 시 실행할 스크립트 추가crontab 파일에 다음 줄을 추가하여 부팅 시 실행할 스크립트 또는 명령을 지정합니다.@reboot /path/to/your/script.sh여기서 /path/to/your/script.sh는 실행하려는 스크립트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2...
[Linux/Ubuntu 20.04 LTS] Wired Network 사라지는 경우
·
Coding/Linux
Ubuntu 에서 재부팅  Wired Network 가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1. apt updatesudo apt update​2. NetworkManager.conf 의 managed 를 true 로 변경vi /etc/NetworkManager/NetworkManager.conf[main]plugins=ifupdown,keyfile[ifupdown]managed=true[device]wifi.scan-rand-mac-address=no3.  10-globally-managed-devices.conf 파일을 생성touch /etc/NetworkManager/conf.d/10-globally-managed-devices.conf4. Network Manager 를 재시작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