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231
2231번: 분해합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www.acmicpc.net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첫 번째 시도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a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num = new int[1000001];
String creat = "";
int sum = 0;
for (int i = 1; i < num.length; i++) {
creat = Integer.toString(i);
String[] sp = creat.split("");
for (int j = 0; j < creat.length(); j++) {
sum = sum + Integer.parseInt(sp[j]);
}
num[i] = i + sum;
sum = 0;
}
for (int i = 0; i < num.length; i++) {
if (num[i] == a) {
System.out.println(i);
break;
}
if (i == num.length - 1) {
System.out.println(0);
break;
}
}
}
}
해결 방법
우선 모든 수의 분해합을 배열에 저장했다. 배열에 차례로 방문해서 저장된 값이 주어진 값 N과 일치하면 인덱스 i를 출력하고 break, 아닌 경우라면 0을 출력한다. 배열에 순서대로 방문하면 인덱스 값이 최소인 경우일 때이므로 바로 출력해도 최소값을 만족한다.
반응형
'Coding >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blem Solving/Java] 백준 1436번 - 영화감독 숌 (0) | 2024.01.09 |
---|---|
[Problem Solving/Java] 백준 7568번 - 덩치 (0) | 2024.01.08 |
[Problem Solving/Java] 백준 2798번 - 블랙잭 (0) | 2024.01.08 |
[Problem Solving/Java] 백준 2447번 - 별 찍기 - 10 (0) | 2024.01.08 |
[Problem Solving/Java] 백준 10870번 - 피보나치 수 5 (0)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