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란?
데이터는 관찰이나 측정 결과로 얻어진 가공되지 않은 사실입니다. 단순히 존재하는 수치 그 자체를 의미하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 '정보'가 될 수 없습니다.
- 존재적 특성: 있는 그대로의 사실
- 당위적 특성: 판단이나 추론의 근거로 쓰이는 특성
데이터의 종류
- 정성적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언어 등 형태가 자유롭고 해석이 필요한 데이터
- 정량적 데이터: 수치로 표현되며, 분석이 쉬운 데이터 (예: 키, 나이, 가격)
지식의 종류
- 암묵지: 개인의 경험이나 직관처럼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지식
- 형식지: 문서나 데이터베이스처럼 정형화되어 공유 가능한 지식
SECI 모델 (지식 창출 과정)
조직 내 지식이 어떻게 공유되고 발전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 공동화: 암묵지 ↔ 암묵지
- 표출화: 암묵지 → 형식지
- 결합: 형식지 ↔ 형식지
- 내면화: 형식지 → 암묵지
이 4단계를 반복하며 조직 내 지식이 순환합니다.
DIKW 피라미드
데이터가 어떻게 발전해가는지를 보여주는 구조입니다.
- Data: 의미 없는 단순한 수치
- Information: 관계가 생긴 데이터
- Knowledge: 구조화된 정보
- Wisdom: 통찰력, 지혜
2. 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자원
예전에는 ‘전기’가 산업을 움직였다면, 지금은 ‘데이터’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통계학, 프로그래밍, 도메인 지식을 융합한 전문가입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한 뒤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실제 비즈니스에 적용합니다.
3.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데이터 사이언스의 구성 요소
- IT 기술: 데이터 저장, 처리, 분석을 위한 기반
- 통계학: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고 예측을 수행
- 비즈니스 이해: 문제를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적용
인사이트란?
단순한 결과가 아니라 의미 있는 통찰력입니다.
이 인사이트를 통해 조직은 전략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합니다.
암기 포인트 정리
- SECI 모델: 공동화 → 표출화 → 결합 → 내면화
- DIKW 피라미드: 데이터 → 정보 → 지식 → 지혜
- 데이터 유형: 정성 vs 정량
- 지식 유형: 암묵지 vs 형식지
반응형
'자격증 (Certifications) >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Extreme Studentized Deviation (0) | 2025.05.18 |
---|---|
[ADsP]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0) | 2025.05.18 |
[ADsP] 독립사건과 배반사건 (0) | 2025.05.18 |
[ADsP] 유의수준과 유의확률 (0) | 2025.05.18 |
[ADsP] 2과목 – 데이터 분석 기획 (0) | 2025.04.06 |